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1

UX는 어디까지 사용자 편의이고, 어디부터 조종인가? 비판적 UX vs 배려적 UX 1. UX에도 윤리가 존재한다면우리는 종종 UX, 사용자 경험을 편리함이나 기능성으로만 이해한다.그런데 정말 좋은 UX는 편리함을 넘어 사용자의 시간을 어떻게 대우하느냐에 달려있다.사용자의 행동을 끌어내는 UX는 많은 앱에서 환영받는다.하지만 사용자의 의지와 시간을 존중하는 UX는 드물다.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앱의 대부분은,사용자를 더 오래, 더 자주, 더 깊게 머물게 만들기 위해 설계되어 있다.이 구조를 비판적 UX, 그리고 이에 반해 배려적 UX라고 구분해보자 2. 비판적 UX, 사용자의 약점을 공략하는 설계비판적 UX는 심리학적 약점을 활용해 사용자의 주의와 시간을 탈취하는 구조를 말한다.이 UX는 표면적으로는 더 많은 기능, 더 좋은 인터페이스처럼 보이지만사실상 사.. 2025. 4. 16.
스크롤의 심리학 끊지 못하는 UX의 비밀 우리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게 아니라, UX 구조 속에서 미끄러지고 있다 1. 멈출 수 없도록 설계된 UX 우리는 스마트폰을 쥐는 순간, 어디서 멈춰야 할지 모르는 디지털 미끄럼틀을 타기 시작한다.뉴스 피드,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쇼츠, 쇼핑몰까지스크롤은 다음을 약속하며 우리의 주의를 지연시킨다.UX는 단지 정보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사용자가 스스로 멈추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다.콘텐츠는 페이지 단위가 아니라 피드 단위로 이어지며다음 콘텐츠는 로딩되는 게 아니라 예측 없이 등장하고사용자가 선택하기도 전에 새로운 관심 거리가 이미 준비되어 있다이 흐름 속에서 우리는 선택자가 아닌, 반응자가 된다. 2. 무한 스크롤의 심리 트릭무한 스크롤은 심리학적으로 도파민 루프를 강화하는 구조다.이건 마치 슬롯머신.. 2025. 4. 15.
앱은 왜 나를 못 놓게 할까 모바일 UX의 감정 설계 읽기 1.  UX는 기능보다 감정을 설계한다사람들은 UX를 사용의 편의성이라고 생각한다.하지만 진짜 강력한 UX는 감정에 영향을 주는 인터페이스다.인스타그램의 좋아요는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인정받는 기분을 만든다카카오톡의 1 숫자는 단지 미확인 메시지를 넘어, 기다리는 누군가를 상상하게 만든다틱톡의 자동 추천은 당신이 좋아할 거예요라는 말 없는 확신을 준다우리는 버튼을 누르는 게 아니라, 그 뒤에 숨은 감정 구조에 반응하고 있는 것이다.UX는 이게 편하다가 아니라 이걸 놓기 싫다를 유도해야 성공이라고 여긴다.이 지점이 사용자 입장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2. 우리는 어떻게 길들여졌는가 감정 설계의 메커니즘UX가 감정을 설계하는 방식은 놀랍도록 정교하다.그중 대표적인 네.. 2025. 4. 14.
UX는 중독인가, 배려인가 스마트폰 설계의 딜레마 1. 사용자를 배려한다는 말 뒤에 숨은 것들스마트폰 앱들은 우리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한다.빠른 전환, 직관적인 UI, 알림 기능, 추천 알고리즘모두가 사용자를 배려한 설계라고 소개된다.하지만 정말 그럴까?배려라는 이름 아래 우리는 점점 더 기기를 손에서 놓지 못하게 되었다.넷플릭스는 다음 화 자동 재생을 끄는 설정을 숨겨놓았고인스타그램은 피드를 끝내지 않는다유튜브는 짧고 강렬한 쇼츠를 무한 루프로 틀어준다앱스토어는 이 앱을 사용한 사람은 이런 앱도 사용했어요라고 덧붙인다이건 진짜 배려일까?UX는 사용자 시간을 아껴주기 위해 존재하는 걸까,아니면 그 시간을 ‘붙잡아두기’ 위해 설계된 걸까? 2.  UX는 ‘시간’이 아니라 주의를 겨눈다디지털 미니멀리즘 관점에서 볼 때,.. 2025. 4. 14.
홈 화면 1페이지 실험 내가 진짜 필요한 앱은 몇 개일까? 1. 매일 보는 그 첫 화면, 나도 모르게 습관이 되었다하루에 스마트폰을 몇 번이나 들여다보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드물다.나는 스스로 '적당히 쓰는 편'이라고 생각했지만,어느 날 '스크린 타임'을 확인하고는 충격을 받았다.하루 평균 126회 잠금 해제.그리고 그중 대부분이 홈 화면 1페이지에서 끝나지 않고2페이지, 3페이지, 앱 폴더까지 손가락이 멈추지 않고 흘러갔다.그제야 깨달았다. 홈 화면은 단순한 앱 배열이 아니라나의 무의식적 습관, 정보 소비의 출발점, 집중력의 분기점이라는 걸.그래서 시작했다. 홈 화면을 딱 1페이지로 제한하는 실험.진짜 필요한 앱만 남기고, 나머지는 과감히 정리하기.처음엔 단순한 '정리'라고 생각했지만 결과는 생각보다 더 복잡하고 깊었다.  2. 앱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선.. 2025. 4. 14.
한글 키보드만 사용하기 영어, 이모지, 줄임말 없이 소통 언어 습관이 바뀌자, 나의 생각도 조금 달라졌다 1. "ㅋㅋ", "ㅇㅋ", "thx" 습관처럼 섞이는 언어들요즘 대화는 마치 다국적 언어 회의 같다.한 문장에 영어, 이모지, 이니셜, 줄임말이 뒤섞여 있다.“ㅇㅋ~ 굿잡ㅋㅋ 오늘은 ㄱㄱ 할까? ”이게 나쁘다는 건 아니다. 오히려 재밌고, 간편하고, 감정을 간단히 전달하는 데는 꽤 효과적이다.하지만 어느 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내가 지금 쓰는 이 말들… 진짜 내가 하고 싶은 말일까?”“아니면 익숙하고 편하니까 그냥 따라하는 걸까?”그래서 나는, 한글 키보드만 사용하기 실험을 해보기로 했다.7일 동안 영어, 이모지, 줄임말 없이 온전히 ‘한글’로만 대화하기 2.  실험 조건과 나만의 규칙실험 전, 몇 가지 나만의 기준을 세웠다.실험 조건은 일주일 동안.. 2025. 4. 14.